겨울 전국캠프를 생각해보며

가수들로 말하자면 정규앨범 나오기 전, 싱글앨범이라 해야 할까요?

우리 기획모임에게 이번 겨울캠프는 이런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1. Y 전국캠프 구상에 한발 내딛기, 실험적 시도

-사회교육 실무자들이 공유했던 전국캠프의 필요성과 의미를 전국적으로 확산하여 함꼐 인지하는 계기

-올 겨울캠프를 앞두고 지역마다의 분산된 고민을 모아서 가져가는 것 (일부지역이 되겠지만)

2. 캠프 기획, 준비과정을 통한 YMCA 캠프 기획모임의 구성력 다지기..

-구체적 일감을 통해 논의구조와 역할을 탄탄히 다져보아요!

3. YMCA캠프 공동메뉴얼 및 지침서 작업의 논의 구체화 마당

 

 

전국YMCA가 함께하는

“산골체험캠프” 가제

 

1. 캠프 목표

_ YMCA 전국캠프 틀 마련

_ 생명, 평화 잘 담아내기

_ 도시아이들의 농촌생활 탐색, 어울림의식 갖기

 

2. 일시 : <1기> 2009년 1/12(월) ~14(수) 2박3일

<2기> 1/14(수)~16(금)

 

3. 장소 : 전남 진안군 하가막 마을 - 연맹 생활공동체 마을축제 개최장소

 

4. 참가인원 : 각기당 40명

 

5. 참가비 :

 

6. 접수일정, 방법

 

7. 프로그램 :

되찾자! 우리 놀이 - 닌텐도 없는 곳에 놀이가 있다!!

․ 강변 놀이터(썰매,얼음낚시..), 연날리기, 쥐불놀이, 겨울논바닥 올림픽, 옻놀이

․ 하가막 아이들과 함께 (아이들이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학교 방문도 좋을 듯)

 

농촌 겨울나기

․ 떌감 모으기(불피우기) ; 콩, 고구마, 감자, 떡 구워먹을 수 있는 건 전부

․ 농사체험을 해볼 수 있다면.. 버섯따기 - 진안과 협의

․ 먹거리 체험 ; 두부, 인절미 (흔한 프로그램이 되버리긴 했는데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할 수 있다면...)

만두 빚어먹기 - 소규모 캠프에서 해봤었는데 폭발적 인기였어요

마을 어른 식사 대접 - 밥, 국, 반찬 직접 만들어 먹기

․ 마을 봉사활동 ; 회관 청소라도..

․ 하룻밤 홈스테이가 가능하다면.. 지난번 마을축제 답사 갔을때 이장님댁에서 밥먹었던거 아주 이상적이었는데요.

 

하가막 보물찾기 - 마을탐험대

․ 마을 지도 만들기,

․ 주민 인터뷰, 마을 유래 알기, 하가막 보물은?

 

함께 고민해요!!

 

1. 참가인원 / 일시

명색이 전국캠프인데 40명이라고 하는게 좀 그러하네요.

전 개인적으로 40명 사이즈를 딱 좋아합니다만... (사실은 30명)

마을 사정을 알아보고 60명~80명 정도 해보면 어떻까요?

시기는 1월 둘째주, 셋째주 중에 고르는게 어떻겠어요?

 

2. 모집시기, 방법 :

이번주 (금)에 지역으로 공문 발송되는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12월 둘째주부터 모집하는 것 괜찮은가요?

 

3. 캠프 주제 : 그럴듯하게 제안해봐주세요들..

 

4. 프로그램 :

마구마구 제안 바래요. 제가 목요일에나 기획안 작업하여 올릴 수 있겠어요.

우선, 거칠게 정리하여 올렸는데요,

2박3일 일정표로 이미 나와 버리면, 시간때 조정이나 주로 하게되겠기에...

그간 진안과 논의하여 구체적 경비도 산정해보겠습니다.

※ 지역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내용일텐데.. 확 땡길만한 어떤 것이 보완되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