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운동 : 시민운동의 새로운 지평모색1)


흔히 “생명운동”은 환경운동, 생태운동, 생명윤리 등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시민사회운동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생명운동은 보다 포괄적으로 統全的, 통합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생명운동은 생명에 대한 다양한 위협을 동시에 그리고 다 함께 극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20세기에 우주의 생명은 총체적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고 21세기에 와서 이 위기는 더 심각하여 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체의 생명보전을 위하여 문명을 일으켰다. 문명사는 인간의 生命歷史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 생명역사, 생명문명사는 인간의 생명이 우주의 생명체에 긴밀히 연관되고 의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자체중심적인 문명의 전개에 따라 우주의 생명체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전개되어 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간은 생명을 위협하고 파괴하는 문명을 주도하는 주범이 되어 벼렸다. 역설적인 것은 인간이 자체의 생명을 보전하고 풍요롭게 하는 노력이 오히려 인간 자체의 생명까지도 총체적으로 위협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새 하늘과 새 땅 (新天新地)에  생명의 정원 살림을 새롭게 일구는 일을 위하여 새 생명운동을 전개하여야 하면 “새 문명의 기틀”을 구상하고 이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는 생명의 총체적 위기를 맞이하여 생명을 살리는 새 우주의 비전을 꿈꾸고 이를 실현하려는 것이다.


최근 역사적 운동사를 돌아본다.


인류는 문명사를 오래토록 존속시켜 왔다. 이 문명사는 흥망성쇠를 이어 왔고 문명사이 충돌과 융합을 내포하였다. 그러나 근세에 와서 인류문명사는 서양문명과 동양문명 그리고 다른 문명과의 침투, 충돌 그리고 대결, 나아가서는 서로 융합하는 것을 경험하였다.2) 서양문명은 충돌과 대결의 과정에서 동서양의 문명사적 지평은 수평적으로 융합되고 역사적으로 통합되어 가고 있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우주 모든 생명체가 생명의 위협을 함께 직면하고 있다.

 

1. 조선 말기 우리 민족은 동학운동을 전개하였다.3)  종교사상적 융합을 토대로 새 종교창조운동이었다. 동시에 조선의 사회경제와 정치체제의 모순을 극복하고 서구문명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한 “후천개벽” 의 농민운동, 민중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민족의 종교적, 사상적, 문화적 지혜를 전수 받으면서 조선말기의 농민운동과 개혁적 지식인운동을 한데 아울렀다. 이것은 통전적 운동이었다.


2. 우리 민족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동북아시아의 지정학적 소용돌이 속에서 민족의 생존과 새로운 미래를 위하여 민족운동을 태동시켰다. 우리 민족운동은 주변 강대국 (중. 일, 러, 서양(영미) 제국의 식민지 확보


1)  김용복, 한국생명학대학원장, 2004년 11월 12일-14일, 세계생명평화포럼


2) Arnold Toynbee, The World and the West, ??


3) 19세기 중국에서는 태평천국농민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우리조선의 동학운동과 비스한 점이 많다. 일본에서는 명치유신이라는 위어서부터 아래로의 혁명적 사건이 벌어 졌다. 동학운동은 적어도 아시아적 축을 가지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생명운동(김용복).hwp 

센터 출판물 "생명평화운동 구상"에 수록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