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會變化로 인해 YMCA가 角質의 機關性만 강화된다면?1)


                             

서울Y는 중요한 과도기에 놓여있다.


서울YMCA의 과도기는 우리 사회 전반이 겪는 과도기의 한 단면이면서, 작게는 머지 않아 집행지도력의 교체를 당면하게 된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이 시점에서 한국사회가 전반적으로 겪는 성격적 특징은 사회의 전반적인 정치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지적할 것은 권위주의 권력에서 민주화된 권력으로 가는 길목에 YMCA가 처해 있다는 점에서 과도기이다. 따라서 민간운동의 再定向化가 필수적으로 요청되고 Y로서도 이를 피해갈 수 없다. 둘째로는 지방자치 2기로 들어서면서 치르는 6월 27일의 4가지 선거이후 우리사회는 민간운동의 새로운 시대를 열게 할 것이란 점에서 과도기이다. 6월 27일에 치르는 4가지 종류의 선거는 저인망 그물처럼 우리 사회의������그라쓰 루트������들을 두루 훑어 내려갈 것이다. 이 4가지 선거는 권위주의 30년, 그리고 과도기 7년 동안 움츠려 있던 조직운동의 열기를 상당히 現場化하는 자극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두 가지 큰 흐름을 YMCA에 한정시켜 보면, 첫째로 Y는 95년 이후 지방자치단체가 벌이는 準官邊的 각종 조직과 활동으로부터 크게 영향과 도전을 받을 것이란 점을 토론할 필요가 있다. 광역단체장, 광역의원, 기초단체장, 기초의원의 네가지 대목이 선거로 자리잡힌 후에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벌이게 될 각종 조직이나 활동들은 다종다기 할 것이다. 사회체육, 교양, 건강, 각종 안전운동 등의 주민운동, 그리고 지난 5월 정부가 발표한 교육개혁운동에 맞추어 학교내외의 각종 교육운동 즉 어린이, 중·고등, 대학생, 청년, 성인 등의 활동을 지방자치단체와 학교 등이 공동으로 벌여나가게 될 규모는 상당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보조를 받는 민간얼굴의 각종 조직들이 우후죽순처럼 돋아날 수도 있다. 이들은 “文民政府”시대라는 이데올로기적 엄호 하에서 민간운동의 공간을 크게 차지할 것이다.

특히나 지금의 정치상황은 민자당 정권과 민주당이 운동정당적인 요소를 지닌 세력들을 상당한 정도 안고 있으므로 6월 27일 4대 선거이후, 정치권이 특히 선출직이 갖는 선거부담감과 이점 때문에 그 막강한 인적, 물적 관변적 수단을 직, 간접으로 동원하여, 지금까지 無主空山格인 민간부문에 대거 진입함으로서 초래될 수 있는 결과는 엄청난 영향을 미쳐서 가히������시민운동’ 의 홍수를 이룰 수도 있다. 그것은 권변(權邊), 관변(官邊)에 의한 새로운 의미에서의 “再維新化”일 수도 있다. 특히 이 현상은 사회체육과 보건부문에서 準官邊的 활동을 크게 확대할 것이 분명하다.

둘째로, 6,27 4대선거와 이에 이은 국회의원선거, 대통령선거에 자극 받아 그라쓰 루트 중심의 본격적인 운동들이 民의 자발적인 동기개발로 조직되어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란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순수민간운동체들은 지금까지 이른바 지식인 주도의 ������자문위원체제������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라쓰 루트단위에서 조직되고 활동함으로써 그간 회원운동체로서 전통적으로 우세한 입장만 지켜왔던 YMCA의 존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데 이 발제의 초점이 있다. 이 두 번째의 움직임은 조직중심의 운동체가 될 것이란 점이 Y의 중요한 관심이 된다.

이로써 민간운동의 차원에서 각 단체들의 상호관계가 달라지고 경쟁의 수준이 바뀌게 된다. 지금까지의 경쟁이, 운동세와 조직세가 아니라, 단지 신문 紙面에 등장하는 크기나 회수 경쟁이었던 것과는 크게 달라진다. 그리고 이는 거꾸로 정치권을 재형성하는데 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권위주의에서 민주화로 가는 변화가 YMCA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그것은 권위주의 체제로 인한 한계적인 또는 임계(臨界)적인 운동에서 全人格的운동으로 YMCA운동이 바뀌어야함을 의미한다. 권위주의적 냉기가 찬 바깥으로 나가는 것을 자제케했거나 강압때문에 출입이 거부당함으로써 그 ������한계운동’에 대한 사회적인 ������양해������가 YMCA와 국민사이에 가능했던 시대가 이제는 지나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부터는 Y의 철학이나 전략에서 우선 순위가 분명해야 하고, Y가 중요한 것을 외면하고 부차적인 것을 선택하는데 대한 사회적인 ������양해������가 용납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권위주의 하에서 YMCA에게������양해������되고 책임이 유예되었던 것이 이제는 중요한 과제를 외면한 것에 대해, 조직과 프로그램 양면에서 시시비비로 평가를 받는 시대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러한 책임적인 존재가 되지못할 때는, 이른바 “사회운동을 하고 있습니다.”라는 명함을 포기할 것을 국민들로부터 강요받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YMCA의 ������자화상������이었던 운동정체성, 또는 운동기관 兩面정체성에서, 급격히, 또는 싫든 좋든, 기관정체성으로 명함을 바꾸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관화-체제화는 한국 YMCA로 하여금 지금까지의 역사와는 전혀 다른 길로 Y를 접어들게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새로운 길은 그간 운동 Y에서 늘 모호했던 것을 일거에 투명하게 함으로써 회원은 회원으로서의 그간의 갈등으로부터, 간사는 간사로서의 그간의 이중부담으로부터 “해방감”을 맛보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YMCA는 한국 Y의 전통으로부터 보면 전혀 새로운 Y의 탄생이 될 수 있다. 흡사 4-50년대부터의 미국YMCA가 John R. Mott의 YMCA로부터 결별한 것처럼···.

특히 한국 Y가 운동체적 正體性으로서, 또는 운동-기관의 兩體性으로서 그간 받아 오던 가장 중요한 국민적 기대는 YMCA가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미래지도력을 함양, 온존시키는 가람이라는 점이었다. 일제하 이상재의 YMCA가 무력항쟁의 기능이 배제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민족적인 정통성을 지니고 있었던 것은 YMCA가 미래 지도력을 함양 온존시키고 있다는 역사적인 기대와 국민적 동의 위에 서 있었기 때문이다. 민주화된 사회에서나 민주화과정의 사회에서, YMCA, 특히 한국 YMCA가 미래 지도력의 함양, 온존이라는 기능을 포기할 때 YMCA는 급격히 운동세가 상실될 것이고 따라서 급격히 기관화되어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모든 민간운동체가 그러하듯 YMCA 역시 환경의 소산이고 또 환경에 영향받는다. 정치 경제적 환경과 관련하여 YMCA를 보면서 개인적으로 지니고 있는 기우를 가설화해 본다면 그것은 YMCA가 경제적 성장기 또는 정치적 권위주의, 식민지하에서는 강하고, 민주화되어 여러 쟁점들이 활발히 거론되는 사회, 성장이 둔화된 사회에서는 약하다라는 가설이다. 

물론 이러한 가설은 필자처럼 어릴 때부터 YMCA에서 자란 한 사람으로서 가지고 있는 콤플렉스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이런 가설이 성립할 수 있는 근거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한 가지, 아래에서 언급하겠지만, 미국 YMCA와 한국 YMCA를 대비하면서 이런 가설을 내다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YMCA는 1차대전 이후부터 3-40년대에 이르는 성장기를 지나고 나서 그간 지녀 왔던 탄력성있는 기관성이 급격히 角質化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사회의 정치화가 강화된 나라의 예에서 이 가설을 끄집어 낼 수 있다. 미국 Y의 경우 사회의 정치화가 강화된 사회에서는 결국 목적(cause)중심의 활동들이 이익중심의 조직들에게 밀려나게 되고 심지어 政黨 마저도 허울만 남는 사회전반적인 경향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도 지적하여야 할 것이다. 대의제등 정치현장의 기구나 언론 이익집단 등을 통해 간접적 정치현상이 활발하면 할 수록 결국은 사회적 結社性 - 특히 목적중심의 結社性은 퇴락하고, 피동적인 복지성 위주의 여가, 보건, 소모적인 결사성만 살아남거나 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한국 YMCA 역시 정작 민주화의 시대에 가서 분출하는 이슈를 감당하지 못하거나 그라쓰 루트적인 강력한 회원조직운동들에게 밀려나서 결국 운동세가 정지하고 “경영중심”의 기관세만 남게 된다면 위의 가설은 검증을 얻게 되는 셈이다.

따라서 권위주의에서 민주화로 가는 과도기에, 또 70년대 이래의 성장이 90년대 후반의 한국YMCA에 어떻게 나타날는지를 미국 YMCA와 비교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물론 여기에 나타낸 판단은 분석적인 연구가 아니고 단지 토론의 자료를 위한 밑그림에 불과하다. (그리고 미국 YMCA의 경우 여기 판단의 근거는 뉴욕 YMCA의 회원과 간사로서 발제자가 경험한 70년대의 7, 8년간의 경험이라는 한정된 기간이 토대가 되었다. 한국 Y의 경험은 1958년 하이-Y때부터이다.)

물론 90년대의 한국 Y, 1910년대와 20년대의 한국 Y, 그리고 70년대 미국의 Y를 이렇게 뭉뚱그려 진맥한다는 것은 誤診의 위험이 크고 또 무례한 일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후반의 한국 Y로서는 미증유의 과도기에 처해 있으므로 한국 YMCA의 위치와 과제를 모색하는 데에 다음의 비교가 유익한 준거점이 되리라 하여 감히 적어 보았다.


< 세 YMCA의 운동성 vs 기관성 >

������������������������������������������������������������������������������������������������������������������������������������������������������������������������������������������������������������������������������������������������������������������������������������������������������������������������������������������������������������������������������������������������������������������������������������

                      90년대의 Y      이상재의 Y          미국 Y 

������������������������������������������������������������������������������������������������������������������������������������������������������������������������������������������������������������������������������������������������������������������������������������������������������������������������������������������������������������������������������������������������������������������������������������

여 론 영 향 력       (비교적)높다      아주 높았다          제한적  

                                            *74-79까지 NYT 1면톱

                                             기사 게재횟수 1-2회   

������������������������������������������������������������������������������������������������������������������������������������������������������������������������������������������������������������������������������������������������������������������������������������������������������������������������������������������������������������������������������������������������������������������������������������

재    정    력           높다                                보통

������������������������������������������������������������������������������������������������������������������������������������������������������������������������������������������������������������������������������������������������������������������������������������������������������������������������������������������������������������������������������������������������������������������������������������

회원의 주체적      낮다(위원회와        높았다       아주낮다(회원참

참 여  정 도      특수조직참여)                    방식은 한국과 유사)

������������������������������������������������������������������������������������������������������������������������������������������������������������������������������������������������������������������������������������������������������������������������������������������������������������������������������������������������������������������������������������������������������������������������������������

간사 지도력의            분명            불분명              분명

가    능   성        (지도자상)        (지사상)          (테크노크랫)

������������������������������������������������������������������������������������������������������������������������������������������������������������������������������������������������������������������������������������������������������������������������������������������������������������������������������������������������������������������������������������������������������������������������������������

간사들의  긍지           높다          아주 높았다       경영자적 심성

������������������������������������������������������������������������������������������������������������������������������������������������������������������������������������������������������������������������������������������������������������������������������������������������������������������������������������������������������������������������������������������������������������������������������������

상    징    성          약하다            크다         손익계정의 원리

������������������������������������������������������������������������������������������������������������������������������������������������������������������������������������������������������������������������������������������������������������������������������������������������������������������������������������������������������������������������������������������������������������������������������������

지 도 력 배 출    

   1)정치·사회쪽                    대안세력으로 존재        제한적

   2)교 회 쪽      

������������������������������������������������������������������������������������������������������������������������������������������������������������������������������������������������������������������������������������������������������������������������������������������������������������������������������������������������������������������������������������������������������������������������������������

정책구조에서의          보통            높았다          비교적 유지됨

기  독  교  성             

������������������������������������������������������������������������������������������������������������������������������������������������������������������������������������������������������������������������������������������������������������������������������������������������������������������������������������������������������������������������������������������������������������������������������������

수 익 사 업 의          낮다                                없다      

사 회 개 혁 성    

������������������������������������������������������������������������������������������������������������������������������������������������������������������������������������������������������������������������������������������������������������������������������������������������������������������������������������������������������������������������������������������������������������������������������������

권력과의  관계       사안에 따라서             

������������������������������������������������������������������������������������������������������������������������������������������������������������������������������������������������������������������������������������������������������������������������������������������������������������������������������������������������������������������������������������������������������������������������������������

주  력  사  업        사회교육           사회운동     사회사업(호텔)

                      사회운동          신앙운동     여가활동(캠핑,체육)

������������������������������������������������������������������������������������������������������������������������������������������������������������������������������������������������������������������������������������������������������������������������������������������������������������������������������������������������������������������������������������������������������������������������������������

종 합 적 특 성      운동성+半기관성        운동성           기관성

������������������������������������������������������������������������������������������������������������������������������������������������������������������������������������������������������������������������������������������������������������������������������������������������������������������������������������������������������������������������������������������������������������������������������������

이상재의 YMCA를 어디에 놓아야 할까. 여기서 1910-20년대의 Y를 다른 두 비교대상과 함께 평가하는 준거점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다. 세 YMCA를 비교하는 준거점은 아마도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런데도 우리근대사에서 1910-1920년대의 종로 YMCA는 하나의������향수������요, ������요순시대의 사례������요,������전설������이 되어 있다. 따라서 YMCA의 오늘과 내일을 비교하는 근거가 되기는 어렵지만 이상재의 Y가 YMCA로서만이 아니라 하나의 民운동으로서, 기독교운동으로서, 지도력운동으로서의 전형의 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어떠한 사회운동의 경우에도 하나의 本이 될 수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리고 그 요체는 기관성이 아니라 운동성이다.

대강컨대, 1910 - 20년대의 YMCA는 운동YMCA적인 특성이 강열하다는 점에서 1990년대 중반의 YMCA는, 운동YMCA + 半기관성, 미국 YMCA는 기관성으로 성격 지울 수 있고 역사적으로 형성된 YMCA에 대한 한국사회의 기대준거점은 운동성에 있다는 점에서, 운동성에 비하여 기관성이 강하면 강할 수록 YMCA에 대한 기대는 줄어든다고 일반화할 수 있겠다. 즉 운동성은 한국 YMCA의 창립이래 그 본질을 이루어 왔기에 운동성상실은 Y의 자기부정에 이른다는 결론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운동성은 이상재의 경우 청년중심의, 미래지향성의, 근본운동의 조직에 있다는 점에서 90년대 한국 YMCA의 운동성도 이러한 준거점에서 평가될 수 있다고 본다. 1910년-1920년대에 있어서 청년성과 미래성, 근본성의 요체는 당시의 YMCA가 학생, 신앙, 농촌, 국제, 교육을 조직하고 사업한데서 드러났었고, 그것의 특징이 조직과 사업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치된 데서 나타났었다고 발제자는 생각한다.)

따라서 한국 Y로서 가장 중요한 정책적 분수령은 운동성과 기관성을 어떻게 배분하느냐에 있다 하겠다. 물론 운동성은 Y가 사회형성의 역할을 담당함을 나타내므로, 기관성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베이스 캠프(기지)가 어느정도 이루어졌는가를 보여주는 제도화와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수가 되므로 기관성과 운동성은 긴밀히 연결되어 있기는 하다. 그런점에서 무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1980년과 90년대의 한국 Y가 내린 “YMCA的 正義”의 定義는 기관적이되 그 기관화를 위한 체제화의 이기성이 지나치지 않고, 운동적이되 그 운동성이 YMCA 자체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 YMCA가 위치하도록 하는데 있었다고 이해할 수 있겠다.

이제 몇 가지의 제의를 끝으로 발제를 마치고자 한다. 요약컨대 6. 27 4대선거로부터 96년의 국회의원선거, 그리고 97년의 대통령선거를 치르면서 형성되는 정치화된 한국사회는, 民의 地平에서는 커다란 변화가 나타난다는 입장에 서 있는 것이 발표자의 입장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 중에서도 Y가 한국사회의 역사적인 기대인, 운동 Y로서 존속, 확대, 강화되는 것이 우리 Y의 본질이고, 그리고 이 본질은 권위주의 시대가 지난 시점에 YMCA의 사회 만들기, 사회적 정당성형성, 사회적 권력형성에 이바지하는 것이 한국 YMCA의 사명이라고 하는 것이 발제자의 판단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망점에서 서울 YMCA가 어떻게 운동 YMCA로서의 기대를 지켜나가도록 할 것인가라는 점에서 다음 몇 가지 제안을, 급격하게 기관화할 위험에 대한 노파심에서 토론거리로 제시해 본다. (이 제안은 그 자체가 사업이 된다고 하기보다 이러한 제안이 제기할 수 있는 대안성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미래지도력을 담당할 사업에 적극 투자함으로써 YMCA의 정체성을 뚜렷이 해야 한다. 젊고 창의성 있는 각종 사업과 젊은이들이 항상 회관에 득시글해야 한다. 운동과 기관 즉 회원과 간사의 공동결정, 공동운영의 과정이 자리잡혀야 한다.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중요쟁점에 적극 참여하고 중요쟁점에 Y는 현존하고 나름의 대답을 제시하는 관성이 자리잡혀야 한다. 

둘째, 기간세력의 강화이다. 지금까지처럼 교파적 연대, 동창적 연결, 명망가적 우정 등 폐쇄회로적 끈들에 의하여 Y의 집행기구와 의결기구를 끌고 오던 관행을 철저히 반성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새로운 세력을 찾아내어 현재의 지도력과 합쳐야 한다. 그리고 舊土를 회복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컨대 정부의 교육개혁과 함께 옛 하이-Y와 대학-Y(캠퍼스-Y) 조직들을 고등학교와 대학에 재조직하고 이미 착수한 일은 강화해야 한다.

간사진과 기간회원간에 발생하는 긴장감은 바로 운동-Y를 지키는 구조적 장치임으로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회원세력이 없는 Y는 정치사회화된 토양 하에서 급격히 기관화-체제화로 기울어질 위험이 높다. 그러나 이 폐쇄회로적인 기관화를 통하여 오히려 재정적으로는 견실한 YMCA로 살아 남을 것은 분명하다.

셋째, 지금과 같이 YMCA에 대한 기대도 높고 재정적으로 여유가 높을 때 YMCA의 기간사업과 보조사업을 나누어야 한다. 지금의 YMCA는 수많은 사업들이 뒤범벅이 되어 YMCA자체가 헝클어진 실타래처럼 본말이 없는 미로와 같다. 목적사업과 수익사업의 구분도 희미하고 따라서 Y에 참여하면 할수록 오히려 회원의식은 더 혼미해지기 마련이다. 기간도로와 보조도로를 구분하고 기간도로는 기간도로답게 손을 많이 대야 한다. 백두대간을 분명히 하고 난 후, 여러 작은 산맥들을 펼쳐나가야 한다.

아울러 경상예산의 10의 1조, 혹은 10의 0.5조를 미래의 운동성을 위하여 전국적으로 비축할 것을 제안한다. 미래의 운동성을 위하여 새 출구, 새 지평을 모색하는 연구위원회를 서울YMCA에 설치하자. 세대와 분야를 망라하여 테스크 포스를 구성하고 연맹과 공동으로 운영해도 좋을 것이다.

넷째, 서울 Y는 새사업생산을 계속하고 새사업이 사회적인 지지가 분명할 때, Y체제로부터 분가시켜 독립시켜야 한다. 새운동체를 만들어 가면 갈수록 YMCA는 저변이 커진다. 따라서 독립된 운동체의 자녀들이 本家보다 더 壯大하게 커 나가도록 해야 한다.

이 중대한 과도기에 서울 Y의 全, 聯盟의 姜, 두 지도력은 원숙하게 포스트 姜-全에 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두 지도력은 허심탄회하게 접하고 필요하다면 교체기를 준비할 위원회를 짜 볼 필요도 있다.

다섯째, 月南社會運動大學院을 세울 것을 제안한다. 일산이나 다락원에 소규모의 대학원을 세워라. YMCA지분을 60%으로, 40%는 YMCA밖에서 모금으로 충당하고, 예컨대, 매스컴, 환경, 사회체육과 건강교육, 사회복지(복지 및 기금운동과 조합운동), 사회관리(안전학)를 전공하는 대학원으로 하고 전국의 YMCA가 설립기금과 예산모금에 기여한 정도로 결정권을 분담하도록 하라. 이 대학원은 단기, 중기, 장기(석사과정)의 간사교육 및 재교육과정, 아시아 Y나 세계 Y가 맞을 새 운동의 모습을 조준하고 이 새 운동의 비전이 어떻게 새로운 사회를 형성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실천과 이론이 병합된 대학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대학원은 사회단체, 정당, 종교기관, 사회사업기관, 지방자치단체와 의회, 중앙정부기관 등의 지도자를 국내, 국외를 대상으로 양성할 수 있고 짧은 기간 안에 사회공학적 사회운동을 펴나가는데 중추적인 지도자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일본 YMCA와 함께 중국과 북한의 YMCA 재건을 크게 지원하자.  퇴행성기관화에 대한 발제자의 가설이 현실로 나타날 경우, 이를 치유할 수 있는 제일 좋은 처방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북한 YMCA와 중국 YMCA에 자리 잡을 새 불꽃이, 역으로 언젠가는 우리들에게 새 전망과 새 활력을 얻게 함으로써 되갚아 줄 것이기 때문이다.



1) 이신행 (연세대교수, 정치이론), 서울YMCA 제13회 사업연구회 발제, 1995. 6. 30 ~ 7. 1, 산정호수 호텔


社會變化로 인해 YMCA가 角質의 機關性만 강화된다면(이신행).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