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0 |
| |
2006․이근석 (전주YMCA) | |
한국YMCA 간사지도력 훈련의 발전방향 모색 | |
|
제1장. 배경 및 취지
1-1.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1-2. 연구방법 및 과정
제2장. 문제 파악 및 해결점을 찾아서
2-1. 학생 운동과 시민운동의 흐름
2-2. 간사학교를 중심으로
2-3. 일반적인 사회교육의 흐름에 대하여
2-4. 다른 NGO들의 지도력 훈련과정과 상황 검토
2-5. 스웨덴의 노동교육체계에 대하여
2-6. NGO 대학원 현황
제3장. 발전적 모색을 위한 작업
1. 제1장 배경 및 취지
1.1. 1-1.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한국YMCA 간사지도력 프로그램(이하 간사학교)에 대한 연구를 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오래전부터 해 오고 있었다. 이는 학습의 내용이나 프로그램이 시대가 변하든 지도력이 변하든지 상관없이 거의 비슷비슷하게 진행되고 답습하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간사학교는 대개 5년차 아니 그 이상의 실무자들이 지도 역량의 고갈이나 재충전의 의미와 새로운 시대나 활동내용을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어느 순간인가부터 간사학교는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 채 등록YMCA로 가맹되어 이사를 파견하는 YMCA로 설 것인가 하는 현실적인 문제에 실무자 책임자들이 사고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간사학교를 들어와서 학습을 받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비근한 예로 지역 시청년회 중에는 사무총장 임용의 조건으로 간사학교 수료를 서약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해 학습의 효과는 뒷전이고 논문을 제출하는 것에 목숨을 걸게 되었고, 평소 자신의 부족한 부분이나 관심 갖는 부분에 대한 보충, 한국YMCA가 바라는 것은 인간과 세계를 구원하고 미래에 희망을 주고자 하는 목적의식을 가진 선교운동체, 사회운동체의 지도력이다. 이를 위해 지도력을 육성하기 위해 지도력 훈련과정을 설치한 것이다. 하지만 과연 잘 양성되고 훈련되고 있는가?
현재 간사학교를 마치면 활동에 활력을 다시 찾고 지역에서 지도력으로써 활동을 하는가?, 간사학교를 마친 지도력이 지속적으로 YMCA활동을 하고 있는가?, 지도력 배양의 구실은 하고 있는가?, 시대의 요구와 시청년회에서 갈급하는 내용을 간사학교 프로그램으로 준비하고 있는가? 등등 회의가 드는 부분이 많다.
이에 본인은 부족하나마 타기관의 훈련프로그램이나 대학의 NGO 프로그램, 권역별로 진행되고 있는 신입직원 훈련 프로그램 등을 검토하여 향후 우리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우리는 이미 지도력의 쇠약으로 보강의 시급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친 지도력의 재충전의 의미,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학습의 효과 기대하고 있다.
새로운 가치형성과 급격한 사회변동에 걸맞은 지도력의 재교육의 필요성과 YMCA지도력 보충 문제의 시급성, 지도력들의 안식년 등 자아개발을 위한 개인적 부담을 어떻게 담아 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어느 때보다도 우리에게 다가왔다고 생각하면서 이 논문을 준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