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

 

2006․한경진 (해남YMCA)

YMCA 농촌운동의 발전방향 모색

 



I.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목적 및 방법

II. YMCA 농촌운동의 역사

   1. 일제하 YMCA 농촌운동

   2. 1970,80년대 YMCA 농촌운동

III. YMCA 농촌운동의 발전방향 모색

   1. 대안적 사회 운동으로 농촌운동

   2. 농업․농촌문제를 의제화하는 도시 시민운동

   3. 생산자 생협(등대)만들기

   4.도농YMCA 연대활동으로 YMCA 농촌운동

참고문헌

1. I. 서론


1.1. 1. 문제제기

 WTO, FTA, 우루과이 라운드..., 예전에는 무엇인지 알기도 쉽지 않은 문구들이 요즘 농촌 마을 앞에 걸려있다. 베트남처녀와 결혼하세요라는 문구도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고 이상한 것도 아니다. 비바람에 낡아서 펄럭이는 것이 오래되었지만 누구하나 철거하지 않아 마을입구에 그대로 있는 것이다.

 며느리 어디 어디 갔느냐고 물어보면 늙은 시어머니는 서울로 데모하러 갔다고 대답하면서 서울 가서 데모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여긴다.

 지방자치단체는 인구를 늘리기 위해서라면 핵폐기장만 아니면 모든 것을 유치해야 한다는 것을 공공연하게 말해도 누구하나 틀렸다고 말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인구감소와 노령화, 곳곳에 붙어있는 외국여성과의 결혼안내 프랑카드, 읍내곳곳에 붙어있는 전세안내문등 한국농촌지역은 기로에 서있다.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수 천년 민족과 함께 해온 농업, 농촌이 근본적인 해체 기로에 서있는 것이다.

  

 한국 YMCA는 지난 2004년 한국YMCA 새로운 100년을 향한 비전선언문에서 새로운 운동과제로 생명평화라는 화두를 제기했다. 이 가운데 농업, 농촌과 관련해서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사회의 구현을 위해 생명가치에 기반을 둔 녹색농촌 만들기, 도농공동체운동, 생활협동운동 등 대안적 사회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한다며 농촌운동을 새로운 과제로 선택했다. 그러나 이 과제가 구체화되기 까지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YMCA농촌운동 역사는 밝혀주고 있다.

 한국YMCA 역사 가운데 농촌운동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20년대에는 한국YMCA운동의 토착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농촌운동은 중요한 과제였고 1970, 80년대 재건 및 운동성회복을 위한 사회개발운동에서 농촌운동은 중심과제가 되었다.

 이 주제는 그동안 YMCA 농촌운동 역사에 대한 정리를 통해 현재 YMCA 농촌운동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농민과 정부 등 여러 가지 이해들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상황에서 근본문제에 대한 해결책보다는 YMCA 농촌운동 역사를 재조명 해보면서 YMCA입장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인가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생협운동과 도농교류운동에 대하여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는 YMCA 농촌운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YMCA 농촌운동의 발전방향 모색(한경진).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