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MCA 생명평화센터 사업 연구1)
■ 사업 선정의 원칙, 지향
17대선 과정에서 드러난 보수화의 흐름은 제도 정치권 개혁 세력(?)의 실패를 말하는 것만 아니다. 이것은 시민사회운동이 갖는 문화적 헤게모니, 즉 새로운 삶의 양식과 가치 창출 그리고 시민사회 소통 공간에 대한 대안과 전략 부재와 실패를 단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시민사회에 삶(생명, 생태)의 공생 가치와 소통 공간 창출이라는 전략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는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고, 이에 대한 대안을 갖지 못하는 단체는 사회진보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사람이 모이지 않음은 물론 돈도 모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YMCA 생명평화운동은 시민사회에 새로운 가치와 소통의 기제를 만드는 운동이 되어야 할 것이다.
⊳ 비시장적 질서, 주축 경제를 형성할 수 있는 운동 기획
⊳ 지역사회 자원의 조직, 공동체 지지, 형성 가능한 운동 기획 - 회원조직, 운동조직으로의 가능성
⊳ 생태적인 삶과 나눔, 공동체의 건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운동 기획
⊳ 대량소비와 무한경쟁으로부터 협력과 공생의 가치를 나눌 수 있는 운동 기획
⊳ 스스로의 삶을 가꾸는 개인 주권과 세계 연대가 가능한 운동 기획
⊳ 지속적인 실천과 활동을 통한 삶의 변화와 가치의 공명이 있는 운동 기획,
1) 한국YMCA전국연맹 생명평화센터, 이 자료는 센터 준비위원회 사업구상을 위한 기초 토론 자료입니다. (07.5)
3. ‘YMCA 평화살림단(평화쟁기)’운동
- ‘YMCA 평화수업’, ‘YMCA Peace Free School’, YMCA 평화살림단(YMCA 평화쟁기)
① ‘YMCA 평화수업’
∎ 목적
⊳ YMCA 생명평화교육의 대상별, 지역별 프로그램 구조화
⊳ YMCA 생명평화운동의 평화교육 프로그램 브랜드화
⊳ YMCA 생명평화교육의 공교육 보급, 매뉴얼화
⊳ YMCA 생명평화운동의 시민참여, 회원운동 그룹화(지역, 전국)
⊳ 참여자 과제 그룹으로 육성
∎ 과제 : 1차년도
⊳ ‘YMCA 평화수업’ 위원회 구성
⊳ ‘YMCA 평화수업’ 교사 양성 교육 : 전국Y 실무자 대상
-. 영역별 : 청소년 지도자, 유아, 사회체육, 사회교육 등
⊳ ‘YMCA 평화수업’ 프로그램 구조화 : 청소년, 주부, 대학생
⊳ ‘YMCA 평화수업’ 매뉴얼
⊳ ‘YMCA 평화수업’ 실시 : 3개Y(청소년, 주부 대상), 대학생 직접사업 실시
⊳ 공교육 평화수업 매뉴얼 제작 : 2차 - 3차년도
∎ 협력사업
⊳ 국립청소년수련관 청소년평화수업 프로그램 구조화 (청소년Y 협력)
⊳ 국립청소년수련관 청소년평화수업 교사 양성 교육 (청소년Y 협력)
⊳ 지역Y별 평화수업 프로그램으로 ‘비폭력대화’ 교육프로그램 도입 검토
⊳ 한중일 평화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매뉴얼 제작 (대학Y 협력)
② ‘YMCA Peace Free School’
∎ 목적
⊳ 목적에 의해 모이고 움직이는 자발적 평화사랑 회원공동체
⊳ 지역사회 자원 발굴, 개인별 관심과 취미, 지향에 의한 자발적 학습, 봉사공동체
⊳ 서로 돕고 나누는 학습공동체
⊳ 최소 비용의 효율적인 사회자원 자발적 동원, 참여 프로그램
∎ 대상
⊳ 대학생, 청소년, 주부, 은퇴노인, 기업 사회봉사단 등
∎ 과제 : 1차년도
⊳ ‘YMCA Peace Free School’ 운동 개념 정립 및 운동 매뉴얼 작성 : 기획회의
⊳ ‘YMCA Peace Free School’ 운동가 양성 교육
⊳ ‘YMCA Peace Free School’ 모델링 (3개의 중소도시Y)
∎ 영역 및 사회자원 개발
⊳ 지역에 맞게 다양한 프로그램 기획,
⊳ 지역주민의 욕구, 시민사업 프로그램과 연계
③ YMCA 평화살림단(YMCA 평화쟁기)
∎ 목적
⊳ 목적에 의해 모이고 움직이는 자발적 평화사랑 회원공동체
⊳ YMCA 생명평화운동의 회원과 자원봉사자 참여 구조.
⊳ 회원, 시민참여에 기반한 생명평화운동
⊳ 다문화, 지역화폐교환운동 등 다양한 참여 통로의 브렌드화.
∎ 슬로건 : “세상을 배우자, 세상을 바꾸자, 평화의 마음으로”
∎ 구성
⊳ 지역과 전국 조직으로 구성
⊳ 'YMCA 평화수업', 'Free School' 이수자로 구성
⊳ 'YMCA 평화살림단 대회
∎ 과제 : 스스로 사업 기획하고, 지역사회, 가정, 공동체 현장에서 평화 일감 가꾸기
⊳ ‘YMCA 평화살림(평화쟁기)’ 서약문 제정 : 자원봉사, 후원나눔, 평화교육하기, 정기적 모임 참여 등.
⊳ ‘YMCA 평화살림’ 월 1회 평화 캠페인 및 후원, 회원모금 하기
⊳ ‘YMCA 평화살림’ 월 1회 글쓰기 : 이 달의 나의 평화
⊳ ‘YMCA 평화운동’ 프로그램 참여하기 : ‘YMCA Peace Free School’, 다문화가정 멘토, 교육, 레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