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고아와 부녀자 구호사업에 힘쓴

창주(滄柱) 현동완(玄東完) 선생


현동완(玄東完) 선생은 1899년 6월 12일에 서울에서 태어났다. 아호는 창주(滄柱)로서 그는 1917년 조선중앙YMCA 학관을 졸업한 뒤, 1918년부터 YMCA 간사로 피택되어 소년부와 체육부 간사, YMCA 연맹 주임간사, 영창학교(英彰․Y학관) 교장, 그리고 서울YMCA 총무를 지내는 등 거의 전 생애를 YMCA와 더불어 산 Y멘이다.

그의 가문은 YMCA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큰아버지인 현흥택(玄興澤) 씨는 구한말엔 군인으로서 전권대사 민영익(閔泳翊) 씨의 수행원으로 미국과 구라파 여행을 했으며, 1896년에 독립협회가 조직될 때에는 정령(正領)의 신분으로 창설에 많은 활약을 했다. 특히 1903년에 황성기독교청년회가 창설될 때는 자문위원직을 맡았고 1907년에 회관을 지을 때에는 대지 4백 평(현 서울YMCA 대지의 일부)을 기증함으로써 궁지에 빠져있었던 회관건축사업을 성공리에 추진시켰다.

뿐만 아니라 현흥택 씨의 아들 동식(東軾), 동철(東轍) 등도 YMCA 위원으로서 초창기에 YMCA 육성과 발전에 많은 공헌을 했다. 이렇게 현씨 가문이 YMCA 운동에 많은 참여를 하였는데, 그 가운데서도 창주 선생은 일생을 Y를 위해 헌신했다고 할 수 있다.

창주 선생은 YMCA 초창기에 소년부와 체육부 사업에 많은 공헌을 했다. 서울YMCA는 1916년부터 실내체육관을 열게 됐는데, 창주 선생은 농구선수 겸 감독원으로서 일본 원정을 하였고 그가 이끄는 Y농구팀은 전국을 누비며 명성을 떨쳤다. 또한 1938년에 일제의 탄압으로 YMCA가 폐쇄상태에 있었던 어려운 시기에는 YMCA 연맹 주임간사가 되어 8.15해방 후의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와 6.25전란으로 인한 회관상실, 부산피난과 환도 이후의 극심한 혼란기 등을 겪으면서 YMCA를 사수하는 데 힘썼다.

특히 6.25전란 이후에 가장 긴급히 요청된 전쟁고아와 부녀자들을 위한 구호사업에 주력하여 많은 공헌을 했다. 1952년에는 삼동부녀회관(三同婦女會館)을 설립하여 전쟁 미망인과 윤락여성을 구호하였고 1953년에는 100만평이 넘는 난지도 전부를 매입하여 삼동소년촌(三同少年村)을 짓고 거리에서 방황하는 고아들을 데려다가 양육하였다. 삼동소년촌은 소년들의 자치단체였는데 지금도 YMCA 사업의 하나로서 계속 운영되고 있다. 그 당시 창주 선생은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보건사회부 장관의 요청을 받았으나 거절을 하고 YMCA 총무라기 보다는 「고아의 아버지」로서 전쟁고아 구호사업에 심혈을 기울였다.

또한 사회활동을 통해 국가재건에도 많은 이바지를 했다. 그는 1949년에 한국산악회장을 역임하였는데 이것은 그가 일정 때 YMCA 산악회원들을 이끌고 백두산 정상에 등정한데서 온 결실이기도 하다.

그리고 브라질, 멕시코 등 남미 각국을 순방하면서 이민사업을 추진시켰는데, 그 성과는 별로 없었지만 당시 국제외교관계가 극히 어려운 때에 이러한 포부를 품고 시찰여행을 했다는 것에서 그의 애국심을 볼 수 있다.

창주 선생은 전형적인 선비며 풍자가로서 많은 일화를 남기고 있다. 그는 한복 두루마기를 조금 짧게 만들어 Y 직원들의 사무복으로 사용하게 했다. 양복바지 위에다 한복 두루마기를 입으니까 비웃는 사람도 있었고 적극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창주 선생은 『多白衣考見大慈』란 글을 써주면서 백의민족의 긍지와 함께 「배기고 견디자」는 뜻으로 직원들에게 용기를 불어넣어 주었다. 자칭 애국자들에게 대해서는 『憂巨志國 眼目高 建邦之計 養淡輩』란 한시로 풍자를 했다. 이시는 「큰 뜻으로 나라를 걱정함에 안목이 높구나, 나라세움의 계획으로 많은 후배를 기르는구나」의 뜻으로 풀이되지만 사실은 「애국자를 자처하는 자가 우거지국은 안먹고 건방지게 양담배만 피우는가」하는 풍자였던 것이다.

창주 선생은 1963년 10월 25일 삼동소년촌에서 고아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고요히 눈을 감으셨다.


등걸

-1981.9.1. 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