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5

 

1976․이성헌 (대구YMCA)

YMCA 청소년사업의 방향전환에 관한 연구

 


서론

본론

제1장 현행 YMCA 청소년 사업의 진단

제1항 하이Y 운동의 현황 분석

제2항 소녀Y 운동의 현황 분석

제3항 중학Y 운동의 현황 분석

제2장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비교 연구

제1항 발달심리학적인 고찰

제2항 집단사회학적인 고찰

제3항 한국적 현실에서의 고찰

제3장 방향 전환을 위한 모색

제1항 외부적인 요청과 내부적인 필요성

제2항 자원지도자의 확보와 프로그램의 개발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1974년 2월 ‘한국신학연구소’에서 ‘한국 교회와 교육’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 바 있었다. 이 모임에서 다루어진 내용들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1. 오늘의 한국 기독교 교육이 설정할 교육의 장(context)은 무엇인가?

2. 산업화와 기계화 속에서 한국 기독교 교육이 추구할 인간상은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가?

3. 앞으로 한국 기독교 교육이 관심을 가져야 할 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민주화를 위한 교육, 제3의 삶의 모델을 창조하기 위한 교육)

4. 이를 위한 기독교 교육의 과정은 어떠한 방향으로 추구될 것인가?

5. 주체적으로 사는 ‘크리스챤’의 의미와 역동성은 어떠한 것인가?

이들 5가지 논제 가운데에서도 특별히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것은 첫째, 기독교 교육이 설정할 교육의 장과 둘째, 민주화의 과제와 셋째, 제3의 삶의 모델을 정립하는 일과 넷째, 기독교 교육의 과정에 대한 연구들이었다.

먼저 기독교 교육의 장을 설정하는 문제에 있어서 분명하게 밝혀진 것은 한국 기독교 교육은 과거에 그런대로 교육의 장이 특징 있게 설정되어져 왔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주일학교 운동, 미션계통의 학교 교육, 신앙에 근거한 청교도적인 가정교육, YMCA- YWCA운동 등이 일제하에서도 다들 독특한 identity를 가지고 있었고 해방 후에는 KSCF같은 학생운동이 여기에 가해져서 독자적인 장 속에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기능을 발휘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계 안팎의 정황이 격변하였고 한국교육 일반의 풍토가 달라진 지금에 와서 과연 기독교 교육의 장은 어디이며 또 어떠해야하는가 하는 문제는 제법 심각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여기에서 기독교 교육의 장이라고 할 때 그 성격은 교육행위가 구체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현장 즉 ‘교육적인 locality’를 포함하면서 교육제도, 교육행정, 교육인재, 교육내용, 교육시설 등 모두가 그 속에서 발생하는 문화상황 전체를 말한다고 규정되고 있다.




YMCA 청소년사업의 방향전환에 관한 연구(이성헌).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