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71 |
| |
1990․이재억 (안양YMCA) | |
지역 문화운동체로서의 YMCA | |
|
제1장 열림마당
1) 연구의 동기와 목전
2) 연구의 필요
3) 연구의 과제와 범위
제2장 한국YMCA의 문화적 배경
1. 한국YMCA가 지닌 문화적 역사성
2. 88년 - 89년을 중심으로 각 지역 프로그램 현황
제3장 안양지역 소개
1. 약사와 지리
2. 지형
3. 교통
4. 인구
5. 안양 지역 문화
제4장 지역문화운동체로서의 안양YMCA
1. 안양YMCA 프로그램 계획
2. 89년도 안양YMCA 사업
3. 요구와 기대
제5장 맺음말
참고도서
1. 제 1 장 열림마당
1.1.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한국YMCA의 태동은 세계YMCA 역사 속에서 대단히 특이한 형태와 민족상황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독립협회가 해산당한 후 개화독립운동에 관심 있는 청년들이 주축이 되어1) 창립하게 되었다. 이것은 민족운동의 한 범주로써 YMCA에 대한 요구와 목적성을 표현하고 있는 내용이라 본다. 1903년 10월 20일 한국 YMCA 최초의 시청년회인 황성기독교 청년회가 창설되는 민족상황은 산업혁명 이후 서구 제국의 침탈과 영토확장을 추구하는 시기로 한민족도 열강의 음모와 그들의 앞잡이가 된 수구집권 세력으로 독립협회가 붕괴된 지 4년만에 그 정신을 이어받은 청년단체로 YMCA 가 출현하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한국YMCA 가 민족의 등대로써 기독교 문화운동체로써의 역할과 그 밑뿌리의 정신은 무엇이고 실천적인 내용은 무엇일까? 전국 각 지역 YMCA에서 중요한 사업으로 행해져오는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속에서 YMCA 정체성(Identity)을 검증해 보고 우리들의 문화적 좌표를 설정해 보고자 한다.
1.2. 2. 연구의 필요
문화는 무엇일까? 일상적인 인간생활 그 자체를 통칭해서 문화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문화운동은 기능의 습득이나 소비적 놀이가 아닌 생산적인 만남 즉 생활운동으로부터 출발 되어져야 한다. 또한 생활속에서보다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YMCA 목적문에서 “새 문화를 창조하고”라는 것처럼 새 문화 통해 새 인간, 새 사회를 건설해야 한다. 간혹 문화는 고급스럽고, 사치하고 자기 삶의 본질을 덮어둔 채 무관하게 진행 되고 표현될 때가 많다. 문화는 자기일 속에서 고민하고 재창조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는 사회전체 집단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삶의 양식이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문화는 운동적 차원에서 시행되어지고 새 문화 창조의 과정이란 생활 문화의 보급이나 정적인 의미의 문예활동 차원이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속에서 하느님나라의 실현이라는 YMCA 명제를 위한 문화운동을 추구해 가야하겠다.2)
이렇듯 문화는 자기 생활, 더불어 사는 사회 구성원들의 공통적 관심, 민족의 상황 등을 포괄적으로 표현해야 하며 사회변혁을 이끌어 가기 위한 원천적인 힘을 일구어 내야 한다.
100년의 한국YMCA 역사 속에서 문화운동체로써, 지역운동체로써의 우리 자신의 모습들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비교, 분석의 완전함은 이룰 수 없다 하더라도, 70년대 서구 중심적 특히 미국식 문화프로그램들을 한국적 내용으로 개편하여 민족의 혼과 얼이 담겨 대중의 사랑과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한 미천한 생각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1.3. 3. 연구의 과제와 범위
본고에서는 각 지역 YMCA의 문화프로그램을 사업보고서를 통한 내용으로 분석해보고 안양지역사회는 어떤 곳이며 안양YMCA가 추구해 갈 문화프로그램은 무엇일까?
1년의 짧은 과정 속에서 안양 YMCA의 문화프로그램을 되돌아보면서 지역공동체 건설을 위한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
2. 제 2 장 한국YMCA의 문화적 배경
2.1. 1. 한국YMCA가 지닌 문화적 역사성
세계YMCA가 태동할 시기엔 산업혁명, 공산당 선언 종교와 가치관의 혼란 등으로 인한 자가된 청년들의 운동으로 출발하게 되었고 한국 YMCA도 혼란과 변화의 시기에 태동하게 되었다. 한국YMCA 농촌사업의 기본목적에서 알 수 있듯이 농민들의 정신적, 문화적, 경제적 향상에 있다.3)고 밝히고 있으며 “만약 YMCA의 사업목적이 회원들의 사교적, 문화적, 윤리적 향상에만 그치고 기독교를 하나의 순수한 생활원칙으로 받아들이게 하는데 부족하다면 YMCA는 자기의 근본 목적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4)라고 얘기하고 있다. 이것은 YMCA 문화프로그
1) 한국YMCA연구시리즈 “ 한국 YMCA 문화운동 ‘
2) 앞의 책 . p5.
3) 한국YMCA 운동사, p.60.
4) 한국YMCA 운동사, p.98.
지역 문화운동체로서의 YMCA(이재억).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