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YMCA목적문, Challenge 21의 역사적 배경1)


                                                           

■  한국YMCA 목적문


나의 기억으로는 강 문규 신임 총무가 취임하면서 조직한 목적과 사업위원회의 제1차 사업으로서 한국 Y의 이념 정립과 함께 목적문의 기초 작업을 개시하였다. 1974년 춘천에서 열린 모임에서 이념 정립의 역사적 신학적 기초작업을 거쳐 목적문 작성과 검토에 들어 갔던 것으로 기억된다. 당시 기초위원으로는 대부분 한국의 저명한 신학자들과 Y 운동가들이 참여하였다. 생존하는 분들로는 현영학 교수, 유동식 교수 등을 들 수 있고, 작고하신 분들로는 서 남동 교수, 김 천배 선생 등이 기억난다.(나는 당시 43세의 초심교수로 참여한 영광을 가졌었다.)


■   목적문 작성의 동기   :



⊳   한국 YMCA의 이념 정립

한국 YMCA의 역사의식 개발

세계 YMCA의 파리기준의 검토

파리 기준의 한국적 표현

YMCA 운동의 상황화 혹은 토착화


■             목적문의 필수 요소  :

주어, 주체, 주인, 소유자, 행동하는 자 (누가, 무엇이)

주체의 정의

동사, 행동 내용, (무엇을, 무슨 일을)

목표 설정 (무엇을 향하여)

행동 방식, 방법론 (어떻게)


■     목적문의 분석 :


• 파리 기준과의 공통점:

주체는:  젊은이들

주체의 정의는: 그리스도의 뒤를 따르는 자들

목표 설정은: 하느님 나라의 구현


• 한국 목적문의 상황성 : 행동내용과 방법론

- 역사적 책임의식 :

한국 YMCA의 역사적 발자취

(항일 독립운동, 계몽 개발사업, 전후 복구 운동)

1974년의 한국 정치적 상황에서 "정치적 책임성”의 강조의 필요성

- "사랑과 정의의 실현"목표 설정:

하느님 나라의 구체적 내용


- "민중의 복지 향상" :

하느님 나라의 구체적 내용으로서의 경제적 목표 설정.

유신정권의 고도 경제 발전의 와중에서 빈부의 격차와 민중의 경제적 불이익을 염두에 둔 내용


- "새 문화 창조" :

하느님 나라의 구체적 내용으로서의 문화적 목표 설정.

시대적 상황으로서 유신 정권이 전통문화를 강조함으로써 "복고적" 정치문화를 강요하던 배경과, "청년 문화"가 대두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문화 운동 단체"로서의 자기 정립을 모색하는 상황의 반영


■ 한국 목적문의 신학


• 성서적 맥락 : 예수의 Mission Statement : 예수의 선교 목적문 :


"주의 영이 내게 임하셨도다.

 주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심은

 가난한 자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게 하심이라.

 주께서 나를 보내심은

 포로된 자들에게 해방을 선포하고

 눈먼 자들에게 눈 뜨임을 선포하며

 눌린 자들을 놓아주고

 주의 은혜의 해를 선포하게 하심이라. (누가복음 4:18)"


• "그리스도의 뒤를 따라(한국 목적문)의 신앙적 의미와 신학적 토대


■         Challenge 21 :


내 기억으로는 1992년 세계 YMCA 서울대회에서 제3세계 대표들의 제청으로 파리기준의 재검토와 세계YMCA 운동의 이념 정립을 위한 작업을 착수하여 "선교 위원회"를 구성, 그 위원회 위원장으로 작업에 착수하였다. 한국에서의 작업의 경험을 살려 각국 YMCA의 목적문과 "Mission Statement"를 수집하고 목적문 작성 작업을 종용한 바 있다. 위원회와 각국 여론은 양분한 상태였다. 한편에서는 파리 기준은 영원 불변한 Y의 목적문이며, 캄파라 대회 형식의 재확인으로 충분하다는 의견이 있었고, 다른 한편에서는 파리 기준은 오늘의 상황에 대응하는 표현으로 다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결국 협상 끝에 목적문도 아니고 새로운 기준도 아닌 Challenge 21 즉 21세기를 맞이하는 세계 YMCA가 당면하는 도전이라는 문서를 만들어 1998년 내가 세계YMCA 회장직을 끝 막음 하면서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세 번째 천년을 맞이하는  지금,

우리는

1855년에 채택된파리 기준이 YMCA 사명의 근간임을 확인하면서,

YMCA가 청년들의 진정한 참여를 강조하는

여성과 남성 모두를 아우르는 기독교 운동이며,

에큐메니칼 정신에 기초한

자발적인 운동임을 선언한다

(world-wide, Christian, ecumenical, voluntary movement).


또한

YMCA는 모든 피조물이  충만한  삶 (fullness of life)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의에 기초한,

사랑과 평화 그리고 화해의

인간 공동체를 건설하려는

기독교적 이상을 나누기 위해 애쓸 것이다.

("it seeks to share the Christian ideal of building a human community of justice with love, peace and reconciliation for the fullness of life for all creation.")


그리고 7개항에 걸친 도전의 내용들을 열거하였다.

  1.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전파

  2. 여성과 청년들의 지도력 참여

  3. 여성과 아동의 권익 향상

  4. 종교간의 대화 촉진

  5. 가난하고 억눌린 민중과의 연대

  6. 사회 국제적 분쟁에의 화해자로서의 개입

  7. 하느님의 창조 보전의 책임


Challenge 21의 특징:


- 역사적 지속성: 1855년에 채택된 파리 기준에 대한 재 확인

- 21세기의 상황성 반영

- YMCA 운동의 주역 : 청년성의 강조, 남자와 여자의 공동 참여

- YMCA의 정의 : World wide

               Christian

               Ecumenical

               Voluntary

               Movement

- YMCA 운동의 목적:

모든 피조물이 충만한 삶을 영위하는 인간 공동체 형성

인간 공동체의 내용: 정의와 사랑, 평화와 화해


Challenge 21의 분석과 반성:

- 파리 기준의 재확인

- YMCA 운동의 주체의 재확인

- YMCA운동의 정의 설정

- 운동의 목적 제시

- 7개 분야의 도전 제시

- "하느님 나라" 표현의 약화

- 행동 강령의 약화 (기독교적 이상을 "나눈다"?)

- "그리스도의 뒤를 따른다"는 기독교적 제자로서의 자기확인의 결여


1) 서광선, 전 세계YMCA연맹 회장, 전 이화여대교수, 2007년 간사학교. 이 자료는 한국YMCA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2003년 12월 2일~3일, 양일간 아카데미 하우스에서 개최되었던 ‘목적과 사업 연구회’에서 서광선교수님의 주제발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