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MCA 운동 이념- YMCA 목적문1)



  YMCA는 기독교정신에 입각한 청년운동체로 출발하여 130년의 긴 역사와 세계각처의 100여개국의 조직되어 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랜 전통을 갖는 청소년단체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구한말기의 개화기에 소개된 YMCA운동이 이제는 80년의 역사를 가지고 전국 30여 도시 YMCA와 50여 농촌 부락센타에 걸쳐 운동의 거점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발전해온 YMCA운동은 그 세계적 규모에 있어서나 우리나라의 경우나 역사와 시대의 변천과 더불어 언제나 그 시대적 사명을 감당하기에 노력해 왔고 오늘날의 규모로 발전한 YMCA운동은 곧 시대의 변천과 요청에 민감하게 대처해간데서 이루어진 발전의 성과라 하겠다. 그리고 오늘날의 YMCA는 현대사회가 갖는 기술혁명시대의 다원화된 복합사회와 구조 속에서 이루어가야 할 복합목적을 지닌 운동체로 적응하면서 또 변혁해 왔다. 따라서 이같이 복합적이고 다원목적을 지닌 운동체의 이념을 단일문맥으로 설명하기란 쉬운일이 아니며 오히려 그 복합성 속에서 전체운동을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 같은 다원적 성격을 제처놓은 채 부분설명으로, YMCA를 기독교 평신도운동체로, 또는 청소년봉사단체로, 그리고 근간에 와서는 사회문화 교육단체로도 설명한다. 이 같은 이해는 비단 YMCA를 보는 일반사회뿐 아니라 YMCA운동을 추진해 가는 핵심회원이나 간부이사들 간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다.

 한국의 YMCA운동도 80년의 역사를 통해 초창기에는 새문화 도입의 센타로, 혹은 민족적 엘리트(elite) 요람지로, 그리고 때로는 농촌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 해방 후에는 청소년들의 민주적 써클활동과 그들의 대학의 각종 봉사활동과 폭넓은 사회문화교육을 통한 봉사활동에 주력을 기우려왔다고 볼 수 있다. 이같이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보유하는 운동의 다양화는 다른 나라들의 역사에서도 공통으로 엿볼 수 있으며 이는 오히려 현대적 YMCA가 갖는 성격적 특성으로도 설명한다. 이 같은 다양화는 비단 그 사업영역이나 대상의 선정에서뿐만 아니라 YMCA운동을 형성해 가는 회원정책에서도 볼 수 있다. 즉 종파나 인종 및 사회적 배경까지도 초월하는 개방성에 그 개성을 두며 이를 때로는 YMCA가 갖는 운동의 “포괄성”이라고도 설명한다.

 그러면 이 같은 다양성과 개방성 및 포괄성을 갖는 세계의 YMCA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나의 운동으로 세계적 규모로 가장 오래된 민간단체로 또 가장 오래된 청소년단체로 존속할 수 있는 이유와 근거가 어디에 있을까? 즉 이들을 하나의 세계적 운동으로 묶여주는 운동이념이 무엇일까?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은 곧 YMCA라고 표현되는 말속에 포함되어 있는 운동이념과 운동정신이 그것을 지탱해 주고 있다.

 모든 기독교운동이나 사회운동이 그러하듯이 하나의 운동이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운동목표(이념)가 분명해야 하며 그 운동을 밀고 갈 운동담당자(Constituency)가 누구인가를 밝혀져야 하며 또 그 운동을 밀고 갈 기구와 전략이 신축성 있게 계획 적용될 수 있는 기구를 가져야 한다. 이점에서 YMCA는 그 운동이념이 “C”로 표현되는 하나님나라 건설의 운동목표가 있으며 그 운동담당자는 “YM"에서 표현되는 “젊은이”로 못박혀 있으며 나머지 운동조직과 전략이 “A”로 표현되는 기구설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운동이념을 문장으로 명문화 한 것이 바로 “파리기준”이다. 따라서 YMCA의 운동이념을 이해하려면 먼저 세계의 모든 YMCA가 공통으로 채택하는 “파리기준”을 기점으로 하는 운동 이념의 변천과정의 이해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1. 세계적 운동이념으로서의 파리기준


“파리기준”은 1855년 불란서 파리에서 세계YMCA연맹을 조직했을 때 여기서 참석한 대표들이 각처에 흩어져 있는 YMCA를 향해 던진 하나의 호소문이었다. 그러나 그후 이 호소문은 세계연맹에 가맹참가를 희망하는 각국YMCA들에 대한 가맹 심사기준으로 사용되면서부터 이제는 세계YMCA연맹의 목적으로 그 현장 속에 규정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YMCA운동에 참여하는 나라의 YMCA들의 도시YMCA나 연합체들이 모두 이 파리기준을 헌장의 전문으로 혹은 운동이념의 정신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 본문은 아래와 같다.


파 리 기 준


“기독교 청년회는 성경대로 예수 그리스도를 하느님과 구주로 믿어 그 신앙과 생활에서 그의 제자되기를 원하는 청년들을 하나로 뭉치고 또 그 힘을 합하여 청년들 가운데 그의 나라를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55년 8월 22일 세계기독교 청년회 연맹 창립 총회에서 채택. 1955년 8월 파리 백년대회에서 확인)


이상과 같은 기준의 탄생을 이해하기 위해 이 같은 기준을 받아 들이게 한 1850년대의 상황과 당시의 YMCA를 지배한 운동정신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850년대는 마치 오늘의 우리의 시대


1) 한국YMCA 지침서 분권 1호 제1장, 한국YMCA전국연맹 발행, 1984년


YMCA 운동 이념.hwp 

센터 출판물 "YMCA운동 이해"에 수록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