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7 |
| |
2005․안평환 (광주YMCA) | |
좋은 동네 만들기 운동에 관한 사례연구 | |
- 광주YMCA 좋은 동네 시민대학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 |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및 범위
Ⅱ. 이론적 배경
1. 좋은 동네 만들기 의미
2. 좋은 동네 만들기 동기
3. 좋은 동네 만들기 주체
4. 좋은 동네 만들기 사례 유형
5. 주민자치센터의 기능과 역할
Ⅲ. YMCA운동이념과 역사에 대한 자기이해
1. YMCA 운동이념
2. 한국YMCA의 운동이념 및 역사
3. 시민운동체로서의 YMCA
4. 분권과 자치를 위한 YMCA운동
Ⅳ. 광주YMCA 좋은 동네 시민대학 사례분석
1. 설립배경
2. 대학의 구성체
3. 대학의 사명
4. 학습원리
5. 무엇을 학습하는가
6. 어떻게 학습하는가
7. 시민대학 진행과정 5단계
8. 추진현황 및 평가
Ⅴ. 시민대학의 미래상
참고문헌
부록
1. Ⅰ. 연구개요
1.1. 1. 연구의 필요성
동네를 가로 흐르는 개울에 쓰레기가 쌓여있다. 주민들은 동사무소나 구청에 불평을 해댈 뿐 누구하나 쓰레기를 치우려하지 않는다. 썩은 냄새가 진동하자 주민들은 그 옆을 지나가지 않으려 할 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아주머니가 나섰다. 개울 주변에 살고 있는 동네주민들이 먼저 나서서 쓰레기를 치워 깨끗한 개울로 만들자고 사람들에게 호소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이웃의 아주머니들이 협력하기 시작했다. 남편들도 자신의 일로 생각하며 개울의 쓰레기 치우는 공동작업에 나섰다. 그 결과 깨끗한 개울이 소생되었고, 동네 사람들은 함께 땀 흘린 기쁨도 공유하게 되었다.
동네 주민들이 함께 일하는 아름다운 모습이다. 이제 동네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모습은 과거에 비해 자주 볼 수가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 구성체라는 자각과 함께 동네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산업화, 도시화 과정에 익명성의 개인주의와 방관자적 행동양식이 팽배해지면서 이웃이 해체되고 전통적으로 강했던 유기적인 지역공동체가 파괴되면서 함께 일하는 모습이 잠시 뜸했을 뿐이다.
하지만 지방자치제 실시가 해를 거듭하고 주민자치와 지방분권시대를 맞이하여 동네마다 주민들의 지역공동체의식이 회복되는 변화의 물결이 일어나고 있다.
동네에 살고 있는 주민들도 이제는 시민사회 구성원으로서 지금까지 고립되고 수동적이고 방관자적인 개인이 아니라, 책임과 의무 그리고 권한을 함께 안고 지역공동체 안에서 지역사회 공공의 문제에 참여를 통해 활동하는 능동적 시민으로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 이는 스스로 내가 살고 있는 동네에 대한 애착을 갖고 서서히 지역공동체의식을 깨우치고 나서는 아름다운 모습인 것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동네 만들기이다.
동네 만들기는 동네의 특성이 연출되는 독특한 분위기와 주민들이 지니고 있는 공동의 가치에 착안해 이를 살려 가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동네 만들기는 지역의 고유가치 실현의 토대 위에 주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생애가치 실현의 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공동체 불모지 도시에 골목마다 도란도란 이야기가 있는 이웃 만들기로부터 좋은 동네가 만들어진다는 것을 믿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주민이 동네와 도시공동체의 주인이 되어 스스로 동네를 가꾸고 만들어 가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러한 뜻에 바탕을 두고 함께하는 광주YMCA 좋은 동네 만들기 운동은 공동체운동을 하나의 대안운동으로 보고 시민사회운동과 접목시킴으로써 지역사회 공동체운동의 작은 불씨를 지피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좋은 동네 만들기 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광주YMCA 좋은동네시민대학 운영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그 운동방식에 대한 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 방식은 좋은동네만들기운동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2. 2. 연구목적
정보화와 함께 현대는 학습의 시대라고 말한다.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화의 심화, 급격한 기술혁신의
좋은 동네 만들기 운동에 관한 사례연구(안평환).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