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독교와 민족사1)

  - 한국 근․현대사와의 역사적 관계성을 중심으로-


                                           

머 리 말


‘한국사를 기독교적 시각에서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라는 점은 한국의 기독인이라면 한번쯤 생각하고 고민해 보았을 관심사의 하나이다. 일반 기독인들의 경우 이러한 관점의 역사서는 없을까 하며 서점가를 기웃거리기도 했을 것이고, 한국인 신학자나 크리스챤 사학자 가운데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사를 기술해보고 싶은 학문적 충동을 느끼기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기독교적 관점과 시각에서 한국사를 바라본 연구서는 전무한 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는 여러 원인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우선 이 분야의 연구자층이 절대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일반 사학자의 수적 증가는 물론 한국교회사에 관한 연구자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 한국사 전반을 기독교적 시각에서 해석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시말해 세속사(世俗史)로서의 한국사 분야와 구속사(救贖史)로서의 교회사에 대한 개별적 연구는 적지 않은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한국사 전체를 기독교적 시각에서 총체적으로 바라본 연구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기독교적 관점에서 한국사를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한국사 전반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신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밖에 또 한 원인을 든다면 한국 기독교(교회)의 역사성 문제이다. 즉 복음(改新敎)이 이 땅에 들어온 지 불과 1세기 남짓한 짧은 역사에 비해 한국사는 반만년이라는 유구한 역사성을 갖고 있다. 바로 이점, 다시말해 복음수용 이전의 이른바 ‘전사’(前史)를 과연 어떠한 이론과 사관(史觀)에 근거하여 기독교적으로 기술할 것인가라는 매우 지난(至難)한 문제에 부딪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일찍이 ‘성서적 의미’로서 한국사를 기독교적으로 해석하려한 시도2)와 최근에 ‘일반은총’의 논리로 복음수용 이전의 한국사회를 해석한 노력은3) 매우 주목할 만한 성과물이라 할 것이다.

아무튼 이러한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사 전반을 기독교적 시각에서 총체적이고도 종합적으로 소화해낸 학문적 성과는 매우 미흡한 단계에 머물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반해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기독교(교회)가 점하는 정치 사회적 위상은 날로 높아가고 있어 기독인의 책무가 날로 무거워지고 있는 것이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향후 한국교회와 기독인들이 어떠한 가치관과 역사의식을 담보하는가는 통일한국과 21세기를 전망하는 역사의 전환기에 매우 중요한 화두(話頭)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본 발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평소 발표자가 연구 대상시기로 삼고 있는 개항(1876)이후 오늘에 이르는 한국 근․현대사의 역사적 성격을 짚어보고 그 가운데 함께 진행된 한국기독교사(교회사)와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려한다. 말하자면 장구한 반만년의 한국 민족사 가운데 한국기독교사(교회사)와 동시대성(contemporary age)을 갖는 한국 근․현대사 시기로 국한하여 양자간의 역사적 상관성과 차별성을 구명(究明)해 한국사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1. 한국사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의 필요성


(1) 한민족 구성원으로서의 자기 정체성(identity) 확립을 위해


향후 한국사회는 기독교인에게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독교인 수가 전인구의 1/4을 선회하고 있다는 이유외에도 오늘의 한국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도급 인사들 가운데 상당수가 기독교인이라는 점에 우리는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30여 년간의 군사통치를 종식시키고 들어선 대통령이 교회 장로라는 점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기독교가 점하는 정치사회적 위상을 상징적으로 말해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이제 한국사회에서 기독교는 ‘국민적 종교’로서의 기반이 잡혔을 뿐만 아니라 시대정신


1) 윤경로(한성대 사학과), 95년 서울YMCA 운동연구회


2) 咸錫憲, ������성서적 입장에서 본 한국역사������, 星光出版社,1950.


 ,3) 李萬烈,������韓國基督敎와 歷史意識������,知識産業社,1981.


한국 기독교와 민족사(윤경로).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