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

 

 2005․이지양 (마산YMCA)

지역사회 청소년 전용공간 확보를 위한 청소년 사회참여사례 연구

- 마산YMCA 사례를 중심으로 -


I.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방법

II.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의 사회참여 개념  

  2. 청소년의 사회참여 모델  

III. 마산YMCA 사례연구 

  1. 문제가 된 지역사회 배경

  2.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과정 

  3. 청소년 사회참여 실천전략 분석 ‧

IV. 결과분석   

  1. 마산YMCA 3년 주기 기초조사 결과를 통한 가설검증

  2. 청소년 지역사회참여 결과물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3. 청소년사회참여과정에서 YMCA자원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V.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거리캠페인용 서명용지  

  부록 2. 관련 기사           

  부록 3. 정보공개청구서      

1. I. 서 론

   

1.1.  1. 문제제기

  마산YMCA 청소년사업위원회는 1997년 12월 청소년의 삶의 질 지표 만들기 사업의 기초조사를 위하여 지역청소년 25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생활세계전반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질문지는 친구관계, 가족관계, 가출충동, 유해환경접촉도, 지역사회만족도의 영역으로 나누어 총 25문항의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 지역사회 만족도를 묻는 설문문항에 있어서 마산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응답자의 82.2%가 지금 살고 있는 지역이 청소년이 살기 좋은 지역이 아니라고 대답하였고 그 이유를 청소년이 갈 곳이 없음(25.5%) - 입시과잉(15.7%)- 문화행사부족(13.9%) 순으로 응답하였다.1)

  이후 3년이 지난 2000년 다시 같은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역시 마산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응답자의 74%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함께 그 이유로 갈 곳이 없음(17.4%)-문화행사 부족(11.1%)- 청소년의견이 정책에 반영되지 않음(9.5%)이라는 대답을 하였다.2)

  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 대해 살기 좋은 곳이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주된 이유가 “갈 곳이 없다”는 대답은 과연 이 지역사회에서 청소년들이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인 청소년전용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던지는 계기가 되었다.

  그래서 우선 지역사회 청소년전용공간의 실태를 살펴보니 2000년 당시 마산시는 청소년인구가 114,026명으로 마산시 인구의 27%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마산시청 업무보고서에 기록되어진 청소년시설은 공원시설인 청소년 광장과 청소년문화의집, 여성회관 3곳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3곳 역시 이름뿐인 청소년전용공간으로써 청소년 광장은 배구장, 철봉, 야외무대가 설치되어 있으나 도심 외곽에 위치해 청소년들이 거의 알지 못하고, 청소년 공간이기보다는 지역인근 아파트 주민을 위한 공원역할을 담당하고 있었고 올림픽 생활 기념관 3층의 90평 규모의 동아리방인 청소년 문화의집과 청소년시설이라고 보기 애매한 여성회관 역시 청소년 이용이 전무한 이름뿐인 시설이었다.

  아동의 권리에 대한 국제협약이 유엔에서 채택된 후, 1990년대 이후 청소년인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되고 청소년 정책은 청소년의 권리 및 청소년의 참여를 보장하는 정책으로 정책의 방향이 변화하며 청소년 기본법에 의하여 지자체를 중심으로 청소년 수련시설 건립이 활발하던 시기에 마산지역의 현실은 변변한 청소년전용공간 하나도 제대로 없는 참으로 암담한 실정이었다.

  이에 마산YMCA는 지역사회 시민으로서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조직화하고, 조직화된 사회행동을 통하여 청소년의 권리인 청소년 전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청소년 사회참여활동을 지원하여 2000년에서 2001년에 걸쳐 전개해 나갔으며 그 결과 청소년위원회 활동을 통해 참가한 청소년들의 민주적 시민역량의 성숙뿐 아니라 이름뿐이던 마산시청소년문화의집의 재개관이라는 지역사회 청소년전용공간을 청소년의 힘으로 확보하는 가시적 성과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청소년 사회참여에 대한 지역적 사례들이 2000년 이후 YMCA안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시도되었고, 그 성과가 분명한 것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3) 이것이 YMCA네트워크를 통하여 확산되지 못하였고 비슷한 성과를 모아서 체계화하여 한국사회 청소년운동과 YMCA청소년사회참여의 담론으로 엮어내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청소년정책은 청소년의 참여를 바탕으로 청소년과 성인의 파트너십을 강조하고, 청소년을 운동의 주체로 세우는 방향으로 발 빠르게 변화해 나가는 반면 YMCA는 전국적 조직을 가진 청소년운동체이긴 하지만 미래의 지도자를 키우는 것에 더 강조점을 두고, 오늘의 청소년들을 이 땅에 사랑과 정의의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기 위한 지역사회참여의 운동세력으로 조직화하는데 주춤한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1) 마산YMCA,������청소년이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들기 위한 어른들의 보고회 자료집“(1988), 8~9쪽


2) 마산YMCA, ������2000 지역사회 청소년보고서������(2000), 24~25쪽


3)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과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한 부산YMCA의“하천 살리기” 김해YMCA의“통학로 안전실태조사” 진주YMCA “지역사회 유해환경실태조사”등의 다양한 지역사회 참여활동이 있었다. 또한 2004년 광주, 구리, 구미, 군산, 남원, 마산, 안산YMCA가 참가한 청소년 열린 광장의 주제가 “청소년이 참여하면 지역사회가 변합니다.”였다.


지역사회 청소년 전용공간 확보를 위한(이지양).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