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정착촌 추가 건설..美.英 반발(종합)
[연합뉴스] 2009년 11월 18일(수) 오전 08:12
(예루살렘·워싱턴 AP.AFP=연합뉴스) 이스라엘이 미국 등 국제사회의 정착촌 동결 요구에도 불구하고 동예루살렘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 주택을 추가로 건설키로 결정, 국제사회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스라엘 내무부는 17일 동예루살렘 길로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 주택 900호를 추가로 건설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내무부는 "계획·건설 위원회가 길로 지역에 주택 900호를 건설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길로 지역은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때 차지해 병합한 동예루살렘의 아랍인 거주지 내에 있다.
앞서 조지 미첼 미국 중동특사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팔레스타인과의 긴장이 고조될 수 있다며 길로 지역에서 추진되는 정착촌 주택 건설을 중단하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네타냐후 총리는 정부에 건설 프로젝트의 시행을 중단토록 하는 권한이 없고, 길로 지역은 예루살렘의 일부라는 이유를 내세워 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이 정착촌 주택 건설을 강행하자 미국 등 국제사회는 일제히 이스라엘을 비난하고 나섰다.
특히 그동안 정착촌 동결을 줄기차게 요구해온 미국은 "실망스럽다"며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 조치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을 재개하고 팔레스타인 국가를 건설하려는 오바마 행정부의 노력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기브스 대변인은 "미국은 팔레스타인 가정을 축출하고 파괴할 수 있는 행동들을 포함한 예루살렘에서 이스라엘의 추가적인 행동을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영국은 이스라엘의 정착촌 추가 건설 결정은 "잘못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영국은 성명을 통해 "동예루살렘의 점령 지역에서 정착촌을 확대하는 것은 협상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이번 결정은 잘못된 것이며 우리는 이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이날 성명을 통해 중동평화 노력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이스라엘 정부의 결정에 유감을 표시했다.
팔레스타인 최고 협상가인 사에브 에레카트 역시 "우리는 가장 강력한 어조로 이번 조치를 비난한다"면서 이스라엘이 정착촌을 확대하는 와중에 "협상을 재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스라엘을 성토했다.
팔레스타인은 서안 지역뿐만 아니라 동예루살렘에서도 유대인 정착촌 건설 활동이 완전히 중단되어야만 이스라엘과 평화협상을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yunzhen@yna.co.kr
(끝)
-----------------
이스라엘, 정착촌 또 강행…국제사회와 충돌
[한겨레신문] 2009년 11월 18일(수) 오후
[한겨레] 동예루살렘 900호 건설 승인…“예루살렘 일부” 주장
“중동평화 협상 재개 노력 훼손”…미 이례적 강한 비난
유대인 정착촌 건설을 둘러싸고 이스라엘이 국제사회와 또다시 충돌했다. 중동평화협상 재개 전망에도 먹구름이 더욱 짙어졌다. 이스라엘 내무부는 17일 동예루살렘의 길로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 주택 900호 추가건설을 승인했다고 <아에프페>(AFP) 등 외신들이 전했다. 최근 미국의 조지 미첼 중동특사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동예루살렘 정착촌 건설 중단을 요구했으나 네타냐후 정부가 이를 정면으로 거부한 것이다.
팔레스타인은 거세게 반발했다. 국제사회의 비난도 쏟아졌다. 특히 오바마 정부 출범 이후 강도 높게 정착촌 동결을 요구해온 미국은 이례적일 만큼 분명하고 단호한 어조로 실망과 불만을 표시했다.
로버트 깁스 백악관 대변인은 즉각 “이스라엘의 조처에 실망했다. 이는 중동평화협상 재개를 위해 애쓰는 우리 노력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것”이라며 “미국은 팔레스타인 가옥 파괴와 강제퇴거를 되풀이하는 이스라엘의 정착촌 건설 행위에 반대한다”고 거듭 확인했다.
영국 외무부도 성명을 내 “신뢰할 수 있는 중동평화협상은 예루살렘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동 수도로 인정하는 것을 포함한다”며 “이스라엘의 이번 결정은 잘못된 것이며, 영국은 이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나빌 아부 르데이나 대변인은 “정착촌 추가 승인은 이스라엘이 평화를 원하지도, 협상재개를 바라지도 않는다는 것을 증명한다”며 미국에 “이스라엘에 대한 실질적 압력 행사”를 촉구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이스라엘의 행동은 중동평화 노력을 훼손하는 것이자 ‘2개 국가 해법’의 실현가능성을 의심하게 하는 것”이라며 유감을 표시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총리실은 “이번 결정은 이스라엘 지역계획위원회의 일상적 업무”라며 “길로 지역 인근은 예루살렘의 일부”라고 반박했다. 예루살렘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쪽 모두의 성지이자 양보할 수 없는 수도이다.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후 40년 가까이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면서 주변과 마찰을 빚고 있다. 이스라엘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8년말 현재 서안 지구에만 123개 정착촌에 28만9600명의 유대인이 거주하고 동예루살렘에도 18만명의 유대인 정착촌 주민이 살고 있다. 이스라엘 전체 인구 730만명의 6.6%인 48만명이 정착촌 주민인 셈이다. 이스라엘 정부는 정착촌 거주자에게 특혜를 주는 등 이주를 유도하고 있는데, 주로 극우성향의 이스라엘인들과 보호군대가 거주하면서 주변 마을과 마찰을 빚기도 한다.
이스라엘이 국제사회의 거센 비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정착촌 건설을 강행하는 이유는 뭘까?
홍미정 건국대 중동연구소 연구원은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점령지에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함으로써 실질적인 통치권 행사의 토대를 마련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착촌은 자국민 보호라는 명분 아래 군대를 주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협상에서도 ‘분쟁지’로 남게 돼 주권을 주장하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중동평화 협상 재개 노력 훼손”…미 이례적 강한 비난
유대인 정착촌 건설을 둘러싸고 이스라엘이 국제사회와 또다시 충돌했다. 중동평화협상 재개 전망에도 먹구름이 더욱 짙어졌다. 이스라엘 내무부는 17일 동예루살렘의 길로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 주택 900호 추가건설을 승인했다고 <아에프페>(AFP) 등 외신들이 전했다. 최근 미국의 조지 미첼 중동특사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동예루살렘 정착촌 건설 중단을 요구했으나 네타냐후 정부가 이를 정면으로 거부한 것이다.
팔레스타인은 거세게 반발했다. 국제사회의 비난도 쏟아졌다. 특히 오바마 정부 출범 이후 강도 높게 정착촌 동결을 요구해온 미국은 이례적일 만큼 분명하고 단호한 어조로 실망과 불만을 표시했다.
로버트 깁스 백악관 대변인은 즉각 “이스라엘의 조처에 실망했다. 이는 중동평화협상 재개를 위해 애쓰는 우리 노력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것”이라며 “미국은 팔레스타인 가옥 파괴와 강제퇴거를 되풀이하는 이스라엘의 정착촌 건설 행위에 반대한다”고 거듭 확인했다.
영국 외무부도 성명을 내 “신뢰할 수 있는 중동평화협상은 예루살렘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동 수도로 인정하는 것을 포함한다”며 “이스라엘의 이번 결정은 잘못된 것이며, 영국은 이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나빌 아부 르데이나 대변인은 “정착촌 추가 승인은 이스라엘이 평화를 원하지도, 협상재개를 바라지도 않는다는 것을 증명한다”며 미국에 “이스라엘에 대한 실질적 압력 행사”를 촉구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이스라엘의 행동은 중동평화 노력을 훼손하는 것이자 ‘2개 국가 해법’의 실현가능성을 의심하게 하는 것”이라며 유감을 표시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총리실은 “이번 결정은 이스라엘 지역계획위원회의 일상적 업무”라며 “길로 지역 인근은 예루살렘의 일부”라고 반박했다. 예루살렘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쪽 모두의 성지이자 양보할 수 없는 수도이다.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후 40년 가까이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면서 주변과 마찰을 빚고 있다. 이스라엘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8년말 현재 서안 지구에만 123개 정착촌에 28만9600명의 유대인이 거주하고 동예루살렘에도 18만명의 유대인 정착촌 주민이 살고 있다. 이스라엘 전체 인구 730만명의 6.6%인 48만명이 정착촌 주민인 셈이다. 이스라엘 정부는 정착촌 거주자에게 특혜를 주는 등 이주를 유도하고 있는데, 주로 극우성향의 이스라엘인들과 보호군대가 거주하면서 주변 마을과 마찰을 빚기도 한다.
이스라엘이 국제사회의 거센 비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정착촌 건설을 강행하는 이유는 뭘까?
홍미정 건국대 중동연구소 연구원은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점령지에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함으로써 실질적인 통치권 행사의 토대를 마련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착촌은 자국민 보호라는 명분 아래 군대를 주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협상에서도 ‘분쟁지’로 남게 돼 주권을 주장하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