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즐거운 학교, 행복한 아이’, 부모 손에 달렸다
사설
한겨레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학교와 학생, 학부모가 있는 곳이다. 초·중·고교(1966곳)는 서울(1233곳)보다 700여곳 많다. 그런 경기도의 교육을 총괄하는 교육감을 뽑는 투표가 내일 실시된다. 아이의 행복을 꿈꾸는 부모라면 결코 외면할 수 없는 행사다.
 
 

그러나 불안이 앞선다. 이미 치러진 서울·부산·충남 등지의 교육감 선거처럼 이번에도 투표율이 20%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른다. 지난달 선거관리위원회의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투표하겠다는 응답자는 25.5%에 그쳤다. 시간이 지났다고 하지만, 실제 투표율은 이보다 낮아지기 쉽다.



부모의 무관심과 낮은 참여는 결국 학부모 자신과 아이들의 부담으로 돌아온다. 시민의 무관심이 탄생시킨 부적격 교육감들은 이미 비리 등의 혐의로 중도 사퇴했다.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도 선거부정 등의 혐의로 1심 재판부로부터 당선 무효에 해당하는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교육계의 가장 큰 어른이 이러하니, 아이들이 보고 배울 게 없다. 게다가 이 부적격 교육감들은 이명박 정부의 경쟁지상주의 교육정책을 솔선수범했고, 그에 따라 짜증나는 학교, 불행한 아이들이 더 많아졌다.



최근 수원·구리 등 도내 12개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소년 단체인 경기도 청소년와이엠시에이(YMCA)는 교육감 후보들에게 질의를 했다. 강제 야간자율학습 제한, 우열반 및 수준별 학습 폐지, 고교 평준화 확대, 일제고사 폐지, 동아리 활동 및 봉사활동 지원 등에 대한 용의를 묻는 질문이었다. 지난해 촛불시위 때 ‘밥 좀 먹자’, ‘잠 좀 자자’던 아이들의 아우성이 담긴 소망이다. 물론 교육감 후보자들은 귀담아들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보다 먼저 귀를 귀울여야 할 사람은 아이들의 부모이기도 한 어른들이다. 그들의 선택에 따라 이 절절한 소망은 실현될 수도 있고, 외면당하고 짓밟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 교육감 선거 결과가 이 정부의 시장주의 교육정책을 중단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적어도 이를 변화시키는 지렛대 구실은 할 수 있다. 진단평가를 일제고사로 치르지 않을 수 있고, 상위 10%를 위한 경쟁교육을 그만둘 수 있고, 인성과 잠재력 계발에 집중할 수 있다. 그러자면 학부모가 나서야 한다. 그래야 학교도 살고 아이들의 꿈도 자란다.